본문 바로가기

연금 종류 총정리 (국민연금 주택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등)

해피경제인플 2025. 3. 7.

연금은 일정 기간 동안 납부한 금액을 기반으로 노후에 정기적으로 지급받는 소득 보장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은 국민연금에 가입하며, 공무원이나 군인은 별도의 연금제도를 이용합니다.

또한, 부동산을 활용한 주택연금이나 농지연금 같은 선택지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연금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데요.

국민연금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공적 연금제도입니다.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 가입 대상이며, 소득의 9%를 보험료로 납부해야 합니다. 직장인은 회사가 절반을 부담하지만, 자영업자는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 조건

  • 최소 10년 이상 납부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수령 가능 나이는 출생 연도에 따라 다르며, 1969년생 이후는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40년 동안 평균 월소득 300만 원을 올린 경우, 소득대체율이 40%라면 월 120만 원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

공무원연금

공무원연금이란?

공무원연금은 공무원들이 가입하는 연금으로, 국민연금보다 높은 수령액을 보장하지만 보험료율도 높습니다. 기준소득월액의 18%를 납부하며, 국가와 공무원이 각각 9%씩 부담합니다.

공무원연금 수령 조건

  • 최소 10년 이상 근무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16년 이후 퇴직자는 연금 개시 연령이 60세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합니다.
  • 1996년 이후 임용자의 연금 지급률은 1.7~1.9% 수준입니다.

공무원연금 vs 국민연금

  • 공무원연금의 월평균 수령액(2022년 기준): 268만 원
  • 국민연금의 월평균 수령액(2022년 기준): 58만 원
  • 공무원연금은 국민연금보다 4배 이상 높은 연금액을 지급하지만, 보험료 부담도 큽니다.

공무원연금공단 👉

군인연금

군인연금이란?

군인연금은 직업군인이 일정 기간 이상 복무한 후 전역하면 지급되는 연금입니다. 군인은 소득의 14%를 보험료로 납부하며, 국가가 절반을 부담합니다.

군인연금 수령 조건

  • 19년 6개월 이상 복무해야 퇴직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보다 연금 지급액이 많으며, 조기 지급이 가능합니다.

군인연금의 혜택

  • 퇴직 유족급여: 퇴직자가 사망할 경우 유족에게 연금액의 60% 지급
  • 퇴직수당: 1년 이상 복무 후 퇴직하면 지급

군인연금 👉

사학연금

사학연금이란?

사학연금은 사립학교 교직원을 위한 연금입니다.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중간 형태로, 보험료율은 18%이며, 가입자가 9%를 부담합니다.

사학연금 수령 조건

  • 최소 10년 이상 가입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공무원연금과 유사한 방식으로 연금 지급이 이뤄집니다.

사학연금 vs 국민연금

  • 사학연금의 평균 수령액: 117만 원 (20년 근무 기준)
  • 국민연금보다 수령액이 많고, 연금 지급률이 높음

사학연금 👉

별정우체국직원연금

별정우체국직원연금이란?

별정우체국 직원들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연금제도가 운영됩니다. 보험료율은 18%이며, 직원이 9%를 부담합니다.

연금 수령 조건

  • 최소 10년 이상 가입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 지급률이 1.79%이며, 2025년 이후 1.7%로 조정될 예정입니다.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

기초연금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소득이 낮은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연금으로, 일정 소득 기준 이하인 경우 지급됩니다.

기초연금 수령 조건

  • 65세 이상이며 소득 하위 70% 이하
  • 2024년 기준, 단독가구 월 소득 213만 원 이하, 부부가구 304만 8,000원 이하

기초연금 수령액

  • 2024년 기준 월 33만 4,000원 지급

기초연금 👉

농지연금

농지연금이란?

농지연금은 60세 이상 농업인이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농지연금 가입 조건

  • 영농 경력 5년 이상
  • 농지를 실제로 경작하고 있어야 함

농지연금 지급 방식

  1. 종신전액형: 사망 시까지 동일한 금액 지급
  2. 수시인출형: 필요 시 일부 금액 인출 가능
  3. 기간정액형: 설정한 기간 동안 일정 금액 지급

농지연금 👉

주택연금

주택연금이란?

주택 소유자가 자신의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주택연금 가입 조건

  • 부부 중 1명이 55세 이상
  • 주택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주택연금 지급 방식

  1. 정액형: 매달 동일한 금액 지급
  2. 초기 증액형: 초기 몇 년간 더 많은 금액 지급 후 조정
  3. 정기 증액형: 일정 주기로 연금액 증가

연금 종류 비교표

연금 종류 가입 대상 보험료율 최소 가입 기간 수령 개시 연령 평균 수령액(월)
국민연금 18~59세 국민 9% 10년 65세 61만 원
공무원연금 공무원 18% 10년 60세 이후 268만 원
군인연금 직업군인 14% 19년 6개월 복무 기간 종료 후 250만 원 이상
사학연금 사립학교 교직원 18% 10년 60~65세 117만 원
기초연금 65세 이상 저소득층 없음 없음 65세 33만 4,000원
농지연금 60세 이상 농업인 없음 영농 5년 이상 60세 최대 300만 원
주택연금 55세 이상 주택 소유자 없음 없음 55세 주택 가치에 따라 다름

한국주택금융공사 👉

마무리

연금은 노후의 삶을 준비하는 가장 중요한 재원 중 하나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연금제도를 잘 이해하고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주택연금, 농지연금 같은 다양한 연금 옵션을 고려해 보세요.

댓글